교과목명 |
교과목개요 |
철도데이터분석 |
Railway Data Analysis |
본 교과는 이공계열 학부생들이 학문의 과학적 탐구 방법 및 정보의 수집과 처리, 해석에 대한 통계의 개념에 대해 학습한다. 특히, 기존의 통계학에서 강조되는 표본의 개념, 확률변수, 표본분포 등을 학습한다. |
철도개론 |
Railway Introduction |
본 과목은 철도운전에 필요한 기본적인 용어와 운전취급규정의 중요한 조문을 습득하고, 철도안전에 관한 사항에 대해 학습한다. |
철도물리 |
Railway Physics |
철도분야 학습을 위한 기본적인 물리 개념에 대하여 학습한다. |
철도와교통 |
Railway and Transportation |
철도교통의 수단과 역할, 친환경 교통의 개념 등 교통수단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학습 |
전기동차구조및기능 |
Structure and Function of Electric Locomotive |
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전기동차의 구조와 기능을 학습하는 과목으로, 전기동차 기능에서는 전기동차 일반내용과 전기동차 기동, 특고압, 주회로 및 제어회로를 중점적으로 다룬다. |
철도관련법 |
Railroad Law |
철도 기관사 과정과 철도 기술자 과정에 반드시 필요한 철도법령을 학습한다. 주 내용으로는 철도안전법 및 철도관계법규에 대하여 학습한다. |
도시철도시스템일반 |
Urban Railroad System |
도시철도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양한 장치 및 차량 등의 원리와 구조에 대하여 학습하고, 이를 바탕으로 대량 복합시스템인 도시철도의 상호 인터페이스와 각종 설비들과의 상관관계 등을 이해한다. |
물류관리론 |
Logistics |
본 강의에서는 물류와 SCM의 이해를 바탕으로, 물류의 각 기능 및 전략을 학습한다. 물류의 주요 기능인 운송, 보관, 하역, 포장, 정보 및 유통가공의 각 개념에 대해 학습하고, 현재 물류의 역할 및 주요 이슈에 대해서도 살펴본다. 더불어 글로벌 물류환경하에서, 공급사슬 전반에서의 물류의 역할을 재고찰한다. 또한, 기업에서 실제 실행한 물류 혁신 사례의 학습을 통하여 물류전문가가 갖추어야 할 전문지식을 학습한다. |
비상시조치 |
Emergency Action for Railway and Trains |
철도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비상상황에 대하여 비상대응 절차 및 세부 상황별 대응 활동에 대해 학습한다. 특히 일반철도, 도시철도 등 운송수단 별 비상대응 절차를 학습하고 각 비상사고 유형 및 대응/복구 절차에 대해 상세히 학습한다. |
운전이론일반 |
Operation theory |
철도 차량 운전자 양성에 필요한 운전 이론 학습을 목표로 물리학을 기본으로 하는 기초 역학, 운동역학, 운동법칙 및 전자기학, 열차 저항, 차량 제어시스템, 소음과 진동, 선로공학 등에 대해서 학습한다. |
철도CAD |
Railway CAD |
본 교과목에서는 CAD 프로그램의 사용법과 활용에 대해 학습한다. |
철도공학 |
Railway Engineering |
철도시스템의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과목으로 운전, 차량, 신호 및 전력, 선로 등을 강의하여 철도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. |
교통공학 |
Traffic Engineering |
도로교통의 일반적인 특성과 개념을 이해하고, 철도수단에 대한 장.단점, 국내.외 철도교통을 소개한다. |
물류서비스운영관리 |
Logistics Service Operations Management |
본 교과는 제품 생산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을 대상으로, 프로세스를 설계하고, 능력을 관리하며, 수요예측, 재고관리, 자재관리, 품질관리, 물류 및 배송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학습한다. |
캡스톤디자인Ⅰ |
Capstone Design Ⅰ |
본 교과목에서는 전공 수업에서 학습한 지식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제품이나 시스템을 기획 및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. |
철도안전공학 |
Railway Safety Engineering |
본 교과는 철도를 포함한 교통의 개념 및 그 발전과정을 개괄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통사고의 발생현황과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정부조직 및 정책 그리고 관련 법규를 학습하는 한편 교통안전,사고조사,안전계획 및 평가,시설기준 등의 공학적 사항을 학습한다. |
철도수요분석 |
Railway Demand Analysis |
장래의 철도계획 수립을 위한 철도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. 복잡한 수요예측 과정이지만,단계별로 진행되는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고,각 단계에서 적용되는 수학적 모형의 이해와 적용방법에 대해서도 소개한다. |
물류최적화 |
Logistics Opimization |
실제 기업의 생산/물류 시스템을 이해하고, 생산/물류 환경에서의 각종 의사결정 문제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과학적 기법을 학습한다. |
캡스톤디자인 II |
Capstone Design II |
본 교과목에서는 전공 수업에서 학습한 지식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제품이나 시스템을 기획 및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. |
계획의 평가와 철도정책 |
Evaluation of the Plan and Railway Policy |
수요예측 결과를 가지고 수립된 철도계획에서 대안을 평가하고 최적대안을 찾는 과정을 학습한다. 평가방법에는 정성적,정량적 평가방법이 있음을 소개하고,국가 및 대도시의 주요 철도정책을 학습한다. |
선로 측량 |
Railway Survey |
철도 선로의 건설 및 유지관리를 위한 측량조사(거리측량, 각 및 다각측량, 삼각측량, GNSS측량, 수준측량, 지형측량, 노선측량, 하천측량, 면적 및 체적 측량 등)와 관련한 이론 및 계산방법을 학습한다. |
철도구조설계 |
Railway Structure Design |
정역학, 응용역학,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, 궤도역학의 핵심이론을 바탕으로 철도구조물 설계방법을 학습한다. |
철도유지관리 |
Railway Maintenance |
철도 구조물(교량, 터널, 궤도)에 대한 안전진단방법, 현장계측방법, 유지관리방법 등을 학습한다. |
철도건설재료 |
Railway Construction Materials |
철도 건설 및 유지관리에 사용되는 시멘트, 콘크리트, 강재, 합성소재 등에 대한 재료역학적 의미와 이론을 학습하고, 실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. |
회로이론 |
AC Circuit Theory |
본 교과목에서는 간단한 저항(R) 회로에 대한 해석 방법을 이해하고, 더 나아가 인덕턴스(L)와 커패시턴스(C)가 포함된 회로에 대한 해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. |
전기자기학 |
Electromagnetics |
본 교과는 전기전자분야에서 기초가 되는 전기자기학 이론에 대해 공부하여 다른 교과목학습에 대한 이론적인 토대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. |
전력공학 |
Electric Power Engineeing |
본 교과목에서는 전력의 발생 및 전송에 대하여 학습한다. |
철도계획 |
Railway Planning |
철도 분야의 수요 및 최적의 운영방안을 고려한 철도계획 수립에 대하여 학습한다. |
전력공학응용 |
Applications of Power Electronics |
본 교과목에서는 송배전선로 고장계산 및 배전계통의 구성 등을 중심으로 전력의 전송에 대하여 학습한다. |
철도전기기기 |
Railway Electric Instrument |
본 교과목에서는 전기기기의 원리와 동작을 포함한 전기기기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도모한다. |
철도운송산업실무 |
Rail Transport Industry Practice |
철도차량, 도시철도의 운전취급 및 철도물류 등 철도 운송과 관련한 제반 사항에 대하여 학습한다. |
전기철도공학 |
Electric Railway Engineering |
본 교과목에서는 철도에 전기를 공급하는 설비 및 전기철도 관련 공학지식에 대해 학습한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