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공소개
경일대학교 철도학부 전공소개
철도운전시스템 전공
철도기관사 양성과정을 전공공통으로 이수한 후, 3, 4학년 과정에서 철도운전 능력을 바탕으로 하는 전문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개설된 전공이다. 철도운전 및 철도전기차량, 철도설비 등 철도산업 전 분야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할 전문기술자가 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구성하였다. 또한 철도공학, 철도관제 등 철도의 기본소양을 추가로 학습하도록 하여 철도운전시스템 전공을 이수한 학생들은 철도 현업에서 계속 성장·발전할 수 있는 소양을 다지도록 하였다.
철도인프라 전공
철도기관사 양성과정을 전공공통으로 이수한 후, 3, 4학년 과정에서는 좀 더 특화된 철도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개설된 전공이다. 글로벌 시대에 맞는 지식과 기술역량을 갖춘 철도 및 물류·교통 전문가를 양성하여 철도기관사 외 철도의 다른 분야에서 폭넓게 활동할 수 있도록 특화된 교육을 시행한다. 여객 수송뿐만 아니라 철도가 담당하는 물류의 복합운송 체계에 첨단기술을 접목해서 이론과 실무능력을 갖춘 글로벌 SCM/물류 인재를 양성한다.
철도산업 주요직종
철도관련 직종 | 주요 담당 업무 |
---|---|
사무 | 도시철도공사의 경영목표 달성을 위해 도시철도 이용안내, 승객 안전관리 및 사고처리 업무, 역 시설물 유지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, 역사 및 열차를 이용하는 고객의 민원사항을 해결하는 등 원활한 역 업무수행 |
차량검수 | 차량 유지보수 기준, 열차운영계획에 대한 이해, 전기차량 특성에 대한 이해 및 업무수행 |
차량운영 | 차종별 기동방법, 도시철도 운행과 관련된 각종 법규/지침/규정에 관한 사항 및 운전사고(장애) 발생 시 비상조치 요령과 절차에 대한 업무수행 |
전기 | 전기, 전자에 대한 전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전철전력설비 시설물에 대한 운영 및 유지보수, 사고 장애 복구 대책수립, 안전관리 등의 업무 수행 |
기계 | 역사 내 기계시설물(환기설비, 소방설비, 승강설비, 위생 급·배수 설비, 자동제어설비)의 유지관리 및 보수, 시설개량·신설 관련 계획 수립 및 수행으로 도시철도 시설물의 안정적 운영을 위하여 업무 수행 |
신호 | 전기, 전자에 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지상신호 설비와 차상신호 설비간의 통신을 통한 열차의 운행속도 및 각종 정보를 송·수신하여 역 승강장에서 자동정위치 정차 등을 할 수 있도록 신호설비 설치, 유지보수, 안전관리 및 사고복구 등의 업무 수행 |
통신 | 열차 안전운행 통신설비, 역사 내 통신설비, 본선구간 내 통신설비, 도시철도 내 통신망을 위한 전송설비, 비상시에 대비한 비상 통신설비 등을 운영 및 관리하고, 주기적으로 점검·유지보수 하여 통신설비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통신서비스를 공급하는 업무 수행 |
전자 | 승강장 안전문, 역무자동화설비(교통카드 보충기, 자동발매기, 자동개집표기, 역단위 전산기, 발권기 등)의 원활한 작동과 유지관리업무를 수행하고 네트워크장비를 운용한 데이터 전송 및 관리업무 수행 |